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o
- elasticsearch
- context7
- 2024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 cosine similarity metric
- 캡슐화
- Intellij
- RDS
- Kubernetes
- ssh 에이전트
- typescript
- javascript
- model context protocol
- 오블완
- redirect-gateway
- Infra
- golang
- AI
- GIT
- GoF
- replication lag
- AWS
- sqs fifo queue
- 티스토리챌린지
- authorizationpolicy
- 서비스메쉬
- esbuild
- 디자인패턴
- 구조체
- goland
- Today
- Total
Fall in IT.
안녕하세요. 오늘은 angular-cli를 사용하여 만든 angular5 프로젝트에 scss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적angular-cli를 사용하여 만든 angular5 프로젝트에 scss 적용합니다. 진행방법angular-cli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최초로 생성할때 scss 적용해보기이미 만들어진 angular-cli에 scss 적용해보기 (angular-cli가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설명합니다.) angular-cli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최초로 생성할때 scss 적용하는 방법style 옵션에 scss를 설정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ng new my-app --style=scss 이미 만들어진 angular-cli 프로젝트에 scss 적용하는 방법scs..
안녕하세요. 오늘은 127.0.0.1, localhost, 192.168.0.x 세가지 ip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27.0.0.1localhost192.68.0.x (사설ip) 모두 같은거 아닌가? 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알아야할 개념loopback공인 IP사설 IP 간단하게 설명하자면,loopback은 호스트에 할당된 아이피를 의미합니다. 즉, 내가 갖고 있는 노트북에서 localhost 또는 127.0.0.1로 서버를 띄울 경우서버를 띄운 노트북에서만 접속이 가능합니다. 핸드폰에서 localhost 또는 127.0.0.1로 서버를 띄울 경우 핸드폰에서만 접속이 가능합니다. 사설IP의 경우에는 같은 대역의 사설 IP를 할당받은 모든 기기에서 접속이 ..
CPU Scheduling선점형(preemtive) - CPU를 선점하고 동작되는 스케줄링 기법 (뺏을 수 없음)비선점형(nonpreemtive) - CPU를 언제든지 뺏을 수 있는 형태로 동작하는 스케줄링 기법 CPU 성능 척도CPU utilization (CPU 이용률) - 시스템 입장에서 CPU가 일하는 시간Throughtput (처리량) - 시스템 입장에서 CPU가 단위 시간당 처리하는 처리량Turnarount time (소요시간, 반환시간) - 프로세스 입장에서 CPU를 기다리고, 점유하고 모두 끝내는데 걸리는 시간Waiting time (대기 시간) - 프로세스 입장에서 CPU를 점유하기까지 기다리는 시간Response time (응답 시간) - 프로세스 입장에서 CPU를 처음으로 점유하는데 ..
안녕하세요.오늘은 프로세스 관리(Process Management)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콜 4가지fork() - 부모 프로세스를 복제하는 시스템 콜exec() - 어떤 프로그램을 새로운 프로세스로 태어나도록 하는 시스템 콜wait() -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될때까지 기다렸다가(blocked) 자식이 죽으면 ready 상태로 변경되는 시스템 콜 - shell(command) 프로그램도 wait()시스템 콜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 입니다.exit() -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시스템 콜 - kill, break 등으로 프로세스를 죽이는 경우, 또는 윈도우창에서 X버튼을 누르는 경우 모두 해당 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fork()부모 프로세스 i..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세스의 개념과 흐름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세스의 개념실행중인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프로세스의 Context 개념간단하게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냅니다.프로세스의 상태로는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CPU의 수행상태,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 프로세스 관련 커널 자료 구조CPU의 수행 상태 - CPU의 수행 상태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문맥으로 PC(Program Counter)와 각종 register가 해당됩니다. - Program Counter란, 프로세스의 실행될 부분 입니다.프로세스의 주소 공간 - code, data, stack프로세스 관련 커널 자료구조 - PCB(Process Control Block): 프로세스의 정보를 저장해놓는 블록을 의미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