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ll in IT.

연차는 쌓이는데, 왜 실력은 제자리일까? 본문

기타

연차는 쌓이는데, 왜 실력은 제자리일까?

D.Y 2025. 9. 6. 14:10
반응형

개발을 하다 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연차는 쌓이는데, 스스로 실력이 크게 성장하지 못했다고 느낄 때가 있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지 곰곰이 생각해봤다.

 

연차는 늘지만 실력이 정체되는 이유

  1. 빠르게 아웃풋을 내야 하는 환경
    단기적인 결과물만 요구받다 보니 깊이 있는 고민이나 설계를 적게 한다.
  2. 당장의 문제 해결에만 몰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보다, 눈앞의 버그나 이슈만 처리하는 데 급급하다.
  3. “이 정도면 됐다”는 안일함
    지금 당장은 돌아가니까, 더 나은 설계나 확장성은 미뤄둔다.
  4. 코드가 성숙할 기회가 없는 환경
    프로젝트가 단기간에 끝나고 사라지거나, 장기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코드가 성숙될 수 없다.
  5. 학습과 피드백이 없는 조직 문화
    보고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동료가 없다면, 개인의 성장은 더딜 수밖에 없다.
    또한 적극적인 피드백이 오가는 문화가 없다면, 같은 실수를 반복하거나 한계 안에서만 머물게 된다.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1. 충분히 고민하는 습관
    업무 중 여유가 없다면, 개인 시간이라도 투자해서 깊이 고민하고 더 나은 방식을 탐구해야 한다.
    (만약 회사가 이런 고민조차 허용하지 않는다면, 과감히 더 나은 환경을 찾아가는 것도 방법이다.)
  2. 긴급 해결 뒤에 근본적인 개선까지
    급한 불부터 끄되, 반드시 이후에 본질적인 문제를 찾아 개선해야한다.
  3.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을 미리 대비
    “지금은 괜찮다”에 머물지 말고, 나중에 발생할 리스크를 상상해보고 대안을 준비해야한다.
  4.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프로젝트 경험하기
    단발성 프로젝트보다는 장기적으로 운영되고 성장하는 시스템을 경험해야 코드와 함께 본인도 성숙할 수 있다.
  5. 좋은 동료와 피드백 문화 속에서 일하기
    뛰어난 동료와 협업하며 코드 리뷰, 기술 토론을 경험하는 것만큼 성장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은 없다.
    혼자서는 알기 어려운 관점이나 더 나은 방법을 빠르게 배우며 성장할 수 있다.

 

개인적인 생각

연차가 쌓인다는 건 단순히 시간이 흘렀다는 의미가 아니다.

더 넓은 시야로 문제를 바라보고, 더 깊이 있는 고민을 통해 성숙한 개발자가 될 기회가 늘어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 과정에서 개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좋은 조직 문화와 동료 또한 성장을 가속화하는 강력한 힘이 된다.

 

결국, “환경 + 개인 노력”이 함께 맞물려야 진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