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intellij ide
- 배포 프로세스
- Buffered channel
- 배포 파이프라인
- gitops
- 디자인패턴
- goland
- 티스토리챌린지
- apollo router
- AWS
- esbuild
- golang
- GoF
- Logrus
- javascript
- Intellij
- go
- typescript
- body size
- Kubernetes
- 코사인 유사성 메트릭스
- cosine similarity metric
- http 413
- UnBuffered channel
- 오블완
- kube-prometheus-stack
- m4 pro
- Infra
- elasticsearch
- 사설 ip
- Today
- Total
목록시스템구축 (19)
Fall in I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7l3F/btrUSz8Cler/ZKisUF2u0kXpGFVVL5xGm1/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AWS의 S3, CloudFront, Lambda, Lambda@Edge 기술을 활용하여 이미지 리사이징(작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내용에서는 이미지 리사이징을 위한 코드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고 AWS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목적 다양한 사이즈의 이미지를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썸네일 이미지에 큰 사이지의 이미지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상황에 따라 그에 맞는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요구사항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querystring을 사용하여 이미지 사이즈를 다양하게 요청이 가능하다. s 사이즈 설정 s=100x100 (width, height) q 비율 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obMu/btrsfXDC5Y4/a4YKXiA9qPQ8AB8Hipkd1k/img.jpg)
Service Object 란? 파드에 접근할 수 있는 정책을 정의하는 개념.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자신의 클러스터 IP를 가지고 있고 이 서비스를 파드에 연결하면 서비스의 아이피로 파드에 접근이 가능하다. 파드에도 자신의 클러스터 IP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왜 서비스를 통해서 파드에 접근해야할까? 그 이유는, 파드라는 존재는 언제든지 죽을 수 있고 재생성될 수 있다. 파드의 아이피는 가변적이라 재생성되면 변한다. 그렇기 때문에 파드의 아이피는 신뢰성이 떨어지고 서비스 오브젝트는 지우지 않는 한 삭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 파드에 일관된 아이피를 통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사용한다. Service의 특징 고정된 IP 사용 가능 파드를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에 노출 가능 트래픽 분산 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ykJd/btq6ZPEHLFC/xPBjUnyVZmVpGeHTEKOVmk/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Kubernetes 클러스터 배포 도구인 Argo CD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Argo CD Argo CD는 GitOps 스타일의 배포를 지원하는 CD 도구이다 Git 저장소의 내용과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동기화해주는 역할을 하는 에이전트이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부에서 Pod 형태로 배포가 된다. 특징 애플리케이션 정의, 구성 및 환경은 선언적이어야하며 버전을 제어해야한다.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수명주기 관리는 자동화되고 확인하기 쉽다. 작동 원리 Argo CD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정의하기위한 소스로 Git repository를 사용하는 GitOps 패턴을 따른다. Kubernetes 매니페스트는 여러 방법으로 지정할 수 있다. (필자는 helm 차트를 사용하였습..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ubuntu)에서 sudo 권한을 사용할때마다 패스워드를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abric을 통해 AWS 서버를 관리 및 배포 하려는 과정에서 git, npm 등 여러가지 명령어를 사용하는데 sudo 권한이 필요합니다.sudo 권한을 사용할때마다 패스워드를 입력해야한다면.. 배포하는데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패스워드 입력없이 sudo 권한을 사용할수있도록 설정을 변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ubuntu)에서 sudo 패스워드 없이 사용하는법/etc/sudoers 파일 맨아래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 (사용자명) ALL=NOPASSWD: ALL또는 echo 명령어를 사용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 echo '(사용자명) A..
리눅스 시간 UTC에서 KST로 변경하는 방법 1. date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정된 표준시를 확인 2.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여 local 시간대를 한국표준시로 변경 모두 즐거운 코딩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드리뷰 + git 저장소 시스템인 gerrit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errit이란?Gerrit은 코드 리뷰 기능과 Git 서버 저장소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웹 기반 코드 리뷰 시스템이다.Gerrit은 Git 기반의 코드 리뷰 시스템으로, 일정 점수 이상의 코드 리뷰 점수를 얻어야 코드의 변경 사항을 적용할 수 있게 해 코드 리뷰를 강제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Gerrit은 애초에 코드 리뷰를 자동화하고 강제하는 목적에 맞춰 만들어진 시스템이다.개발자가 수정한 코드를 중앙 저장소에 보내면 자동으로 지정된 리뷰어에게 알림이 가고, 리뷰어는 온라인으로 리뷰를 진행한다. 리뷰에서 규정된 점수 이상을 획득하면 최종적으로 해당 코드를 반영할 수 있다. gerrit 특징- 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linux(CentOS)에서 아파치서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적CentOS에서 아파치 서버를 설치하고, 운영하고자 합니다. 요구사항yum을 사용하여 설치합니다.아파치 서버 포트는 8080 포트로 설정합니다. 구축환경CentOS가 깔려있는 서버를 사용합니다. (CentOS minimal 설치를 하였을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즉, httpd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서버) 구축방법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httpd가 깔려 있는지 확인합니다. (아무것도 나오지 않을 경우, 설치가 되어있지 않은것입니다.) - $ rpm -qa httpd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yum을 통해 설치 할 수 있는 아파치서버의 패키지를 확인합니다. - $yum list httpd다음 명령어를 사용..
오늘은 윈도우 환경에서 Apache 웹서버를 구축해보려고 합니다. 목적내부에서 http 통신으로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요구사항장비 A, B는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사용한다.A장비에 웹서버를 구축한다.B장비에서는 GUI 환경에서 웹브라우저로 접속한 뒤,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한다. (단, CLI 환경에서도 당연히 가능해야 함.) 구축환경노트북(1대)과 서버(1대)장비를 사용한다. (윈도우가 깔린 노트북, 리눅스가 깔린 서버를 사용한다.) 구축방법 1. 노트북에 아파치 웹서버를 깐다.아래 링크에서 아파치 윈도우 버전을 다운받습니다. - http://www.apachelounge.com/download/다운로드 받은 zip파일을 압축을 풉니다. httpd-2.4.18-win6..
서버장비에 KVM 가상환경을 구축합니다. (구축 시 필요한 개념들도 하나하나 정리합니다.) 목적 서버장비에 Linux(CentOS)를 설치 후 가상환경을 구축하여, 동일 네트워크 망에서 원격으로 접속하여 가상머신 관리 및 사용이 가능하게 합니다. 요구사항물리적인 서버 장비 한대에 가상화를 통하여 여러개의 가상머신을 설치하도록 합니다. 원격에서 Manager-console로 접속해 가상머신을 매니지먼트(추가/삭제/수정) 할 수 있도록 합니다.사용자(다수)는 가상머신 등록 후 내부 아이피로 설정하고 가상머신에 접속해 사용하도록 합니다. 구축환경서버장비는 1대만 사용합니다. 따라서, Manager-console + Host Server가 하나의 시스템에 구축됩니다. (가상머신의 현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