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oF
- typescript
- 캡슐화
- ssh 에이전트
- 구조체
- AWS
- RDS
- model context protocol
- 2024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 elasticsearch
- GIT
- redirect-gateway
- authorizationpolicy
- goland
- golang
- go
- 서비스메쉬
- esbuild
- javascript
- Infra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replication lag
- Intellij
- AI
- context7
- Kubernetes
- 디자인패턴
- sqs fifo queue
- cosine similarity metric
- Today
- Total
Fall in IT.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단한 알림 시스템을 설계해보겠습니다. 설계 방법은 다양하며 서비스 환경에 따라서 달라질(구체화 될)것이다. 요구사항 푸시 알림, SMS 메시지, 이메일 알림 제공 알림의 종류는 더 늘어날 수 있다. 고려할 사항 알림 유형별 지원 방법 연락처 정보 수집 방법 알림 전송 및 수신 방법 알림 유형별 지원 방법 iOS 푸시 알림 → APNS (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사용 Android 푸시 알림 → FCM (Firebase Cloud Messaging) 사용 SMS 메시지 → 트윌리오 같은 써드파티 서비스 사용 이메일 → SendGrid 같은 써드파티 서비스 사용 연락처 정보 수집 방법 회원가입시에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정보를 받아야하고 모바일에 푸시 ..
안녕하세요. 오늘은 캡슐화에 대해서 아주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캡슐화 # Date 구조체의 필드값을 모두 퍼블릭으로 선언 type Date struct { Year int Month int Day int } # Date 구조체의 필드값을 모두 프라이빗으로 선언 type Date struct { year int month int day int } 구조체의 필드값을 퍼블릭으로 선언하지 않고 프라이빗으로 선언하는게 왜 중요할까? year, month, day에는 값의 범위가 정해져 있는데 가령, month는 1이상이고 12이하여야한다. year, day도 마찬가지로 범위가 존재한다. 이때, 상세 필드값을 퍼블릭으로 열어주게 되면 값을 설정할때 적절한 유효성 검사를 할 수 없게 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

대규모 System Design을 위한 몇 가지 기본 기능을 간단하게 정리해보자. (대규모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많은 기술들이 필요하지만 이 글에서는 로드밸런서, 메시지 큐, 캐시에 대한 개념을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로드밸런서 로드밸런서는 부하 분산 집합에 속해 있는 웹 서버들에게 트래픽을 고르게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로드밸런서의 공개 IP 주소(public IP address)로 접속한다.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직접 처리하지 않는다. 또한, 서버 간의 통신은 사설 IP 주소(private IP address)를 이용한다. 이렇게 되면, 서버의 확장 및 축소가 쉬워지는데 부하 분산 집합에 웹 서버를 추가하거나 삭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서버의 규모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도커 컴포즈 도대체 왜 필요한데? 안녕하세요. 오늘은 도커와 도커 컴포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최근에 도커 컨테이너 간의 연결에 대한 간단한 질문(?)을 받았는데 잘 생각이 나지 않아서 GPT의 도움을 받아서 답했던 일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시한번 도커에 대한 개념과 도커 컴포즈에 대해 정리하고자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도커란? 도커란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과 그에 필요한 실행 환경을 컨테이너로 패키징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도커는 그럼 왜 필요한가? 도커는 개발 환경을 표준화하고,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와 관리를 단순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여러 환경에서 일관된 실행을 보장하며 가상화를 통해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확장성이 뛰어나며 빠른 배포를 가능케 하므로 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UML, 클래스간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이란? 1997년 OMG(Object Management Group)에서 표준으로 채택한 소프트웨어를 모델링 할때 사용하는 언어이다.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고 구현된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소프트웨어 모델링이란? - 다른 사람들과의 의사소통 또는 설계 논의 - 전체 시스템의 구조 및 클래스의 의존성 파악 - 유지보수를 위한 설계 문서 UML의 종류 UML은 크게 두 종류의 다이어그램이 존재한다. 1. 구조 다이어그램 (Structure Diagram) 2. 행위 다이어그램 (Behavior Diagram) 구조 다이어그램 시스템의 개념, 관계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