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Kubernetes
- elasticsearch
- AWS
- MSA
- blank import
- replication lag
- Intellij
- esbuild
- 관측 가능성
- 디자인패턴
- 캡슐화
- goland
- go
- context7
- AI
- go-sql-driver
- 통합 로깅 시스템
- GIT
- 구조체
- logging
- 티스토리챌린지
- GoF
- Infra
- golang
- RDS
- javascript
- sqs fifo queue
- typescript
- database/sql
- 오블완
Archives
- Today
- Total
Fall in IT.
SASS의 소개와 사용방법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SAS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ASS란?
- CSS를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 기존의 CSS의 유지보수의 불편함 등을 SASS를 사용하면 해결 할 수 있다.
- 위에서 언급한 CSS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 SASS 자체를 그대로 사용할수는 없고, SASS의 문법에 맞게 SASS파일을 만들면 컨버터를 이용해서 CSS를 생성한다.
- 즉, SASS문법에 맞게 CSS를 작성하고, SASS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HTML이 이해 할 수 있는 문법으로 변환합니다.
SASS홈페이지
SASS 설치방법
- 윈도우에서 설치 방법
- http://rubyinstaller.org/에 방문해서 ruby를 설치한다.
- 윈도우키+R키를 누르고 cmd를 입력한다.
- gem install sass 를 입력해서 sass 컴파일러를 설치한다. (gem은 ruby의 패키지 매니저입니다.) - 맥(리눅스)에서 설치 방법
- 맥과 리눅스에는 ruby가설치 되어 있기 때문에, gem install sass를 입력해서 sass 컴파일러를 설치한다.
SASS 사용방법
- 아래는 style.scss 파일이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style.css파일로 변환해주는 명령
- $sass --watchstyle.scss:style.css - 아래는 stylesheets/sass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sass 파일을 CSS로 변환한 후에 stylesheets/compiled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명령
- $sass --watchstylesheets/sass:stylesheets/compiled - 아래는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sass 파일을 css파일로 변환하는 명령 - $sass --watch .:.
(Sass 컴파일러는 --watch 옵션을 통해서 사스파일을 감시하다가 그 파일이 수정되면 자동으로 CSS로 변환해주기 때문에 html에서는 컴파일된 CSS를 인클루드해서 페이지가 잘 렌더링되는지 확인하고, 이 CSS파일을 그대로 서버에 반영하면 됩니다. )
CSS만 사용한 기존의 프로젝트에 SASS 적용 방법
SASS이 장점
코드 중복을 줄일 수 있습니다.
- CSS의 특성으로 인해서 셀렉터를 중복해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Sass의 Nesting을 이용하면 코드의 양을 줄이고 연관된 코드끼리 그룹핑할 수 있다.
SASS 사용 전 코드 (코드가 복잡할수록 더 유지보수가 어려워 집니다.)#navbar {width:80%;height:23px;}#navbar ul {list-style-type:none;}
SCSS 사용 후 코드#navbar {width:80%;height:23px;ul {list-style-type:none; }}변수를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 CSS내에서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변수이름은 '$'로 시작해야 하고, 변수의 값으로 올 수 있는 것은 문자, 숫자(px, em포함), 칼러(#ce4dd6)가 있다. 변수를 이용하면 크기나 색상과 같은 값을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main-color:#ce4dd6;$style:solid;#navbar {border-bottom: {color: $main-color;style: $style;}}a {color: $main-color;&:hover {border-bottom: $style1px; }}함수와 연산자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문법은 http://sass-lang.com/documentation/file.SASS_REFERENCE.html 를 참조해주세요. ^^
참조
반응형
'프로그래밍언어 >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iv 태그 수평(horizontal) 가운데 정렬하는 방법 (0) | 2017.10.11 |
|---|---|
| em, rem 개념 정리하기 (0) | 2017.09.27 |
| Flex를 사용하여 웹페이지 레이아웃 잡는 방법 (0) | 2017.03.04 |
| 웹페이지 간단하게 레이아웃 잡는방법 (0) | 2017.02.23 |
| CSS - @media query 사용하기 (0) | 2016.09.0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