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cosine similarity metric
- 티스토리챌린지
- UnBuffered channel
- kube-prometheus-stack
- go
- GoF
- apollo router
- goland
- 배포 파이프라인
- http 413
- intellij ide
- 디자인패턴
- javascript
- 사설 ip
- Logrus
- Infra
- typescript
- body size
- gitops
- m4 pro
- 배포 프로세스
- 오블완
- elasticsearch
- Buffered channel
- 코사인 유사성 메트릭스
- AWS
- Kubernetes
- Intellij
- esbuild
- golang
Archives
- Today
- Total
Fall in IT.
CentOS 아파치서버 설치방법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linux(CentOS)에서 아파치서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적
- CentOS에서 아파치 서버를 설치하고, 운영하고자 합니다.
요구사항
- yum을 사용하여 설치합니다.
- 아파치 서버 포트는 8080 포트로 설정합니다.
구축환경
- CentOS가 깔려있는 서버를 사용합니다. (CentOS minimal 설치를 하였을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즉, httpd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서버)
구축방법
-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httpd가 깔려 있는지 확인합니다. (아무것도 나오지 않을 경우, 설치가 되어있지 않은것입니다.)
- $ rpm -qa httpd -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yum을 통해 설치 할 수 있는 아파치서버의 패키지를 확인합니다.
- $yum list httpd -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아파치서버를 설치합니다.
- $ yum install -y httpd 혹은 $ yum install -y httpd.x86_64 -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 rpm -qa httpd - 포트 8080으로 변경
- $ vi /etc/httpd/conf/httpd.conf
- Listen 8080 으로 변경해줍니다. - 서비스 시작
- $ service httpd start - 재부팅 자동시작 설정
- $ chkconfig httpd on - 재부팅 자동시작 설정 확인
- $ chkconfig --list httpd - 완료!
모두 즐거운 코딩하세요~
반응형
'시스템구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ubuntu)에서 sudo 패스워드 없이 사용하는법 (0) | 2018.06.28 |
---|---|
리눅스 시간 UTC에서 KST로 변경하는 방법 (0) | 2018.06.27 |
코드리뷰시스템 gerrit 간단 정리 (0) | 2017.07.19 |
윈도우 Apache 웹서버 구축 (0) | 2016.02.26 |
KVM 가상환경 구축 (4) | 2016.02.2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