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logging
- context7
- RDS
- GoF
- 구조체
- Kubernetes
- AI
- Intellij
- go
- replication lag
- MSA
- sqs fifo queue
- elasticsearch
- goland
- blank import
- 통합 로깅 시스템
- database/sql
- Infra
- go-sql-driver
- 캡슐화
- golang
- AWS
- javascript
- esbuild
- 관측 가능성
- 티스토리챌린지
- 디자인패턴
- GIT
- typescript
- 오블완
                                        Archives
                                        
                                    
                                    - Today
- Total
Fall in I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2018 KAKAO BLIND RECRUITMENT] 본문
반응형
    
    
    
  다트 게임
카카오톡에 뜬 네 번째 별! 심심할 땐? 카카오톡 게임별~

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0~10의 정수와 문자 S, D, T, *, #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입력 형식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예) 1S2D*3T
-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
- 보너스는 S, D, T 중 하나이다.
- 옵선은 *이나 # 중 하나이며, 없을 수도 있다.
출력 형식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
예) 37
입출력 예제
예제dartResultanswer설명
| 1 | 1S2D*3T | 37 | 11 * 2 + 22 * 2 + 33 | 
| 2 | 1D2S#10S | 9 | 12 + 21 * (-1) + 101 | 
| 3 | 1D2S0T | 3 | 12 + 21 + 03 | 
| 4 | 1S*2T*3S | 23 | 11 * 2 * 2 + 23 * 2 + 31 | 
| 5 | 1D#2S*3S | 5 | 12 * (-1) * 2 + 21 * 2 + 31 | 
| 6 | 1T2D3D# | -4 | 13 + 22 + 32 * (-1) | 
| 7 | 1D2S3T* | 59 | 12 + 21 * 2 + 33 * 2 | 
function solution(dartResult) {
    let resultArr = [];
    let arr = [];
    let tmp = dartResult.split("");
    // dartResult를 단계별로 자를 구분점을 찾는다.
    for (let i = 0; i < tmp.length; i++) {
        if (i === 0)
            continue;
        if (!isNaN(tmp[i]) && isNaN(tmp[i - 1]))
            arr.push(i);
    }
    // dartResult 단계별로 잘라 kk 배열에 담는다.
    let kk = [];
    kk.push(tmp.join("").substring(0, arr[0]));
    kk.push(tmp.join("").substring(arr[0], arr[1]));
    kk.push(tmp.join("").substring(arr[1], arr[2]));
    // 배열을 순회한다.
    for (let i = 0; i < kk.length; i++) {
        let result = 0;
        /**
         * 배열 안의 각 단계를 순회한다. (점수 | 보너스 | [옵션])
         * 숫자 10일 경우를 주의하여 처리해야한다.
         */
        for (let j = 0; j < kk[i].length; j++) {
            if (kk[i][j] === "S") {
                if (!isNaN(kk[i][j - 2]))
                    result = Math.pow(kk[i][j - 2] + kk[i][j - 1], 1);
                else
                    result = Math.pow(kk[i][j - 1], 1);
            }
            if (kk[i][j] === "D") {
                if (!isNaN(kk[i][j - 2]))
                    result = Math.pow(kk[i][j - 2] + kk[i][j - 1], 2);
                else
                    result = Math.pow(kk[i][j - 1], 2);
            }
            if (kk[i][j] === "T") {
                if (!isNaN(kk[i][j - 2]))
                    result = Math.pow(kk[i][j - 2] + kk[i][j - 1], 3);
                else
                    result = Math.pow(kk[i][j - 1], 3);
            }
            if (kk[i][j] === "#") {
                result = result * -1;
            }
            if (kk[i][j] === "*") {
                result = result * 2;
                
                if (i > 0)
                    resultArr[i - 1] = resultArr[i - 1] * 2;
            }
        }
        resultArr.push(result);
    }
    
    return resultArr[0] + resultArr[1] + resultArr[2];
}
console.log(solution("1S2D*3T") === 37);
console.log(solution("1D2S#10S") === 9);
console.log(solution("1D2S0T") === 3);
console.log(solution("1S*2T*3S") === 23);
console.log(solution("1D#2S*3S") === 5);
console.log(solution("1T2D3D#") === -4);
console.log(solution("1D2S3T*") === 59);
참조
반응형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본 정렬 알고리즘 - 힙정렬(Heap Sort) (0) | 2019.11.29 | 
|---|---|
| 기본 정렬 알고리즘 - 병합정렬(Merge Sort) (0) | 2019.11.27 |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 Javascript (0) | 2019.11.20 |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 Javascript (0) | 2019.11.20 |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소수찾기] - Javascript (0) | 2019.11.11 | 
                          Comments
                        
                    
                
            
                
            
				
				
				
				
                
            
